목록전체 글 (108)
책 읽다가 코딩하다 죽을래
개발자 취업 필수 개념 3주 차에는 주로 보안과 관련된 얘기를 다루었다. 🧾 목차 1. 대칭 키와 비대칭 키 2. 프로토콜, HTTP 3. HTTPS, SSL 4. SSL의 원리 5. 쿠키 6. 세션 1. 대칭 키와 비대칭 키 더보기 📖 개요 우리는 실생활에서 애플리케이션이나 웹을 통해 자신의 정보와 수많은 데이터들을 다른 서버들과 송수신을 합니다. 하지만 송수신하는 과정에서 누군가가 내 데이터를 도청하거나 위변조를 한다면 대단히 위험해질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제 3자가 도청하더라도 무슨 데이터인지 모르게 하기 위해 평문을 암호화해서 암호문으로 바꿔야 하며, 목적지에 도착하면 보내준 데이터를 읽을 수 있도록 암호문을 복호화해서 다시 평문으로 바꿔줘야 합니다. 📖 암호 알고리즘의 종류 암호 알고리즘은 ..
🧾 목차 1. 쿠키(Cookie) 2. 세션(Session) 3. 쿠키와 세션 차이 정리 1. 쿠키(Cookie) 🍪 쿠키 정의 사용자가 방문한 웹페이지에서 이용된 환경설정 및 기타 정보를 사용자의 컴퓨터에 저장하는 작은 파일입니다. 🔗 GoogleAds 고객센터 쿠키는 웹사이트를 방문할 때마다 읽히고 수시로 새로운 정보로 바뀔 수 있는 매개체입니다. 페이티 탐색을 하거나 지역 및 언어, 성능에 대한 보고 혹은 마케팅 용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이처럼 쿠키는 유저들의 효율적이고 안전한 웹 사용을 보장하기 위해 웹 사이트에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쿠키는 웹사이트의 접속 시 접속자의 개인장치에 다운로드되고 브라우저에 저장되는 작은 텍스트 파일입니다. 웹사이트는 쿠키를 통해 웹사이트를 접속자를 인식하..
📚 트리의 정의 트리는 뿌리와 가지로 구성되어 거꾸로 세워놓은 나무처럼 보이는 계층형 비선형 자료 구조이다. 트리는 대표적인 사용 예시는 컴퓨터의 폴더 구조이다. 파일이 어느 경로에 있는지 그 경로에는 어떤 폴더들이 포함되는지 나타내야 하기 때문이다. 트리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 트리의 구조 Node : 트리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본 요소 Root Node : 트리 맨 위에 있는 노드 Level : 최상위 노드를 Level 0으로 하였을 때, 하위 Branch로 연결된 노드의 깊이를 나타냄 Parent Node : 어떤 노드의 상위 레벨에 연결된 노드 Child Node : 어떤 노드의 하위 레벨에 연결된 노드 Leaf Node(Terminal Node) : Child Node가 하나도 없는 노드 S..
오늘은 보안에서 가장 자주 사용되는 해시함수의 근본인 자료구조 해시를 배워보겠다 📚 해시 테이블이란 컴퓨팅에서 키를 값에 매핑할 수 있는 구조인, 연관 배열 추가에 사용되는 자료 구조이다. 해시 테이블은 해시 함수를 사용하여 색인(index)을 버킷(bucket)이나 슬롯(slot)의 배열로 계산한다. 데이터를 다루는 기법 중에 하나로 데이터의 검색과 저장이 아주 빠르게 진행된다. 💡 해시 테이블의 원리 해시 테이블은 파이썬의 딕셔너리(dictionary)와 같다 menu = {"apple": 1000, "potato": 500, "melon": 9000, "iceCream": 1500} 해시 테이블은 자료의 접근이 O(1)이다 menu에서 melon의 가격을 찾고 싶다면 menu의 인덱스를 모두 찾지 ..
목차 1. 프로토콜 2. HTTP 3. HTTPS 4. SSL의 원리 1. 프로토콜 더보기 우리 인간은 인터넷을 통해 서로 필요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또 다른 사람들에게 데이터를 송신한다. 그런데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송신한 사람들 자기편한대로 데이터를 보내면 어떻게 될까? 그럼 받는 사람이 이 데이터는 어떤 형식의 데이터이고 데이터가 주고자 하는 메시지는 무엇인지 당연히 모른다. 그래서 우리는 세계적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양식을 일종의 규칙으로 만든 것이 바로 프로토콜이다. 세상 모든 사람들이 한 양식에 맞춰서 데이터를 보내면 나는 지구 반대편에 사람이 올린 블로그 글도 쉽게 볼 수 있는 것이다. 2. HTTP 더보기 프로토콜의 계층은 물리, 링크, 네트워크, 전송, 세션, 표현, 응용으로 이렇게 7 계..
📖 개요 우리는 실생활에서 애플리케이션이나 웹을 통해 자신의 정보와 수많은 데이터들을 다른 서버들과 송수신을 합니다. 하지만 송수신하는 과정에서 누군가가 내 데이터를 도청하거나 위변조를 한다면 대단히 위험해질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제 3자가 도청하더라도 무슨 데이터인지 모르게 하기 위해 평문을 암호화해서 암호문으로 바꿔야 하며, 목적지에 도착하면 보내준 데이터를 읽을 수 있도록 암호문을 복호화해서 다시 평문으로 바꿔줘야 합니다. 📖 암호 알고리즘의 종류 암호 알고리즘은 크게 단방향 암호화와 양방향 암호화가 있다. 🔑 단방향 암호화 단방향 암호화는 평문을 암호문으로 암호화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암호문을 평문으로 복호화하는 것은 불가능한 암호화 기법입니다. 이렇게 원래의 데이터로 복구가 불가능한 단방향 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