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08)
책 읽다가 코딩하다 죽을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bVAs0/btrfrd5izxe/G4KZEXFkftFEJFp8GMFR0K/img.jpg)
📚 DP(동적계획법)란? 큰 문제를 작은 문제로 나누어 푸는 것인데 이때 하나의 문제는 한 번만 풀어야 합니다. 동적 계획법에 대해 설명하기 딱 좋은 예시가 있는데 그것은 피보나치수열입니다. 📚 피보나치 수열이란? 수학에서, 피보나치 수(영어: Fibonacci numbers)는 첫째 및 둘째 항이 1이며 그 뒤의 모든 항은 바로 앞 두 항의 합인 수열이다. 처음 여섯 항은 각각 1, 1, 2, 3, 5, 8이다. ❓ 그러면 피보나치수열의 몇 번째 항을 바로 알 수 있는 코드를 짜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피보나치의 규칙을 살펴보면 된다. 첫 번째와 두 번째는 무조건 1이고 다음 항부터는 Fibo(n) = Fibo(n - 1) + Fibo(n - 2) 이 반복된다. 우리는 이것을 재귀 함수로 쉽게 구현할..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yRayW/btrfqgOaQGi/uMpNgY8fvZcyQoTuVqLXTk/img.jpg)
📚 this(자기 참조)란? this는 자신이 속한 객체 또는 자신이 생성할 인스턴스를 가리키는 자기 참조 변수 입니다. this를 통해 자신이 속한 객체 또는 자신이 생성할 인스턴스의 프로퍼티나 메소드를 참조할 수 있습니다. 에서 이웅모 저 즉 자바스크립트 내에서 this는 '누가 나를 불렀느냐'를 뜻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this를 소환했을 때의 어떤 실행 컨텍스트에서 불러내었는지를 알면 이해하기 쉬워집니다. 📋 실행 컨텍스트에 따라 달라지는 this this는 다음 실행 컨텍스트에 따라 달라집니다. 전역 공간에서 -> window/global 함수 내부에서 -> window/global 메소드 호출 시 -> 메소드 호출 주체 callback함수에서 -> 함수 내부에서와 동일 생성자 함수에서 -> 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Dg0Fz/btrffOTujA9/WzsSfBov38zDv7Et0vlsUk/img.png)
📚 BFS (Breadth-First Search) 란? 한 노드를 시작으로 인접한 모든 정점들을 우선 방문하는 방법이다. 더 이상 방문하지 않은 정점이 없을 때까지 방문하지 않은 모든 정점들에 대해서 넓이 우선 검색을 적용한다. DFS는 인접한 한 노드를 끝까지 탐색했다면 BFS는 인접한 모든 정점을 방문합니다. 이걸 다시 말하면 인접한 노드 중 방문하지 않은 모드 노드들을 저장하고, 가장 처음에 넣은 노드를 꺼내서 탐색하면 됩니다. 처음에 넣은 노드이므로 큐를 이용해서 BFS를 구현할 수 있다. 📋 BFS 전체 과정 BFS의 알고리즘 방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루트 노드를 큐에 넣는다 2. 현재 큐의 노드를 빼서 visited에 추가한다. 3. 현재 방문한 노드와 인접한 노드 중 방문하지 않..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1HpRy/btrfjR8vSVU/KZtYdhCgykipLL4Xxzf81K/img.png)
📚 DFS란(Depth First Search)? DFS는 자료의 검색 트리나 그래프를 탐색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한 노드를 시작으로 인접한 다른 노드를 재귀적으로 탐색해가고 끝까지 탐색하면 다시 위로 와서 다음을 탐색하여 검색한다. DFS는 이름에 나와있는 그대로 끝까지 탐색하는 거에 초점을 맞춥니다. 그래서 그래프의 최대 깊이만큼의 공간을 요구하며, 이는 공간을 적게 쓰는 것입니다. 그러나 최단 경로를 탐색하기는 쉽지 않다. 모든 경로를 탐색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 DFS 전체 과정 DFS의 알고리즘 방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노드를 방문하고 깊이 우선으로 인접한 노드를 방문한다. 2. 또 그 노드를 방문해서 깊이 우선으로 인접한 노드를 방문한다. 3. 만약 끝에 도달했다면 리턴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rLdg3/btrfbCdCxce/731kKAU57cy6bdKFkprxJ0/img.gif)
📚 병합 정렬이란? 병합 정렬은 정렬할 배열을 더 이상 쪼개질 수 없는 상태까지 나눈 다음 합치면서 정렬을 하는 방법이다. 📋 병합 정렬 전체 과정 병합 정렬은 2가지 과정을 거친다. 정렬할 배열을 나누고(merge sort) -> 합친다(merge) 📋 merge sort 병합 정렬은 더 이상 쪼개질 수 없는 상태 즉, 쪼개진 배열의 길이가 1이 될 때까지 나눈다. 왜냐하면 배열의 길이가 1이면 그 속에 무슨 숫자가 들어있는 정렬이 모두 완료된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시간복잡도를 계산해가면서 배우는 게 낫기 때문에 시간복잡도 관점에서 과정을 설명해드리겠습니다. 다음과 같은 배열을 정렬해봅시다. 처음 배열의 개수는 N 개라고 합시다. 그다음은 N인 배열을 반으로 나눕니다. 그러면 길이가 N/2개인 배열 2..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eOImm9/btreMuA7BVn/dnaqGYsG7GNXT94z8SmuhK/img.jpg)
📚 그래프 정의 그래프는 연결되어 있는 정점과 정점 간의 관계를 표현할 수 있는 비선형 자료구조이며, 노드(N, node)와 그 노드를 연결하는 간선(E, edge)을 하나로 모아 놓은 자료 구조이다. 그래프는 TCP 라우팅 알고리즘과 페이스북 관계망 등에서 자주 쓰이는 자료구조이다. 🧬 그래프 구조 노드(Node) : 연결 관계를 가진 각 데이터를 의미한다. 정점(Vertex)라고도 한다. 간선(Edge) : 노드 간의 관계를 표시한 선 인접 노드(Adjacent Node) : 간선으로 직접 연결된 노드(또는 정점) 📝 그래프 표현 방법 그래프를 코드로 표현하는 방법은 LinkedList와 Array가 있는데 ☝ LinkedList는 각 정점간의 관계를 노드로 연결하여 표현한다. head를 3으로 가리..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04kHj/btreMEijVqx/CVLecS8doEJbSUXrdu4ga1/img.gif)
📚 힙 정의 힙은 데이터에서 최댓값과 최솟값을 찾기 위해 고안된 완전 이진 트리이다. 힙은 항상 큰 값이 상위 레벨에 있고 작은 값이 하위 레벨에 있도록 하는 자료구조이다. 즉 부모 노드의 값이 자식 노드의 값보다 항상 커야 한다. 그러면 가장 큰 값이 모든 자식보다 크기 때문에 가장 위로 간다. 바로 루트 노드로 말이다. 이렇게 아래로 갈수록 작고 위로 갈수록 커지는 힙은 Max Heap이라 하고 이와 반대인 경우는 Min Heap이라 한다. 그런데 힙은 항상 큰 값이 상위 레벨에 있고 작은 값이 하위 레벨에 있어야 하는 규칙이 있다. 🤔 그러면 힙에 새로운 노드를 삽입하거나 이미 존재하는 노드를 삭제할 때 규칙을 어기지 않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지금부터 노드 삽입과 노드 삭제 과정을 훑어보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