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스택 (2)
책 읽다가 코딩하다 죽을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1HpRy/btrfjR8vSVU/KZtYdhCgykipLL4Xxzf81K/img.png)
📚 DFS란(Depth First Search)? DFS는 자료의 검색 트리나 그래프를 탐색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한 노드를 시작으로 인접한 다른 노드를 재귀적으로 탐색해가고 끝까지 탐색하면 다시 위로 와서 다음을 탐색하여 검색한다. DFS는 이름에 나와있는 그대로 끝까지 탐색하는 거에 초점을 맞춥니다. 그래서 그래프의 최대 깊이만큼의 공간을 요구하며, 이는 공간을 적게 쓰는 것입니다. 그러나 최단 경로를 탐색하기는 쉽지 않다. 모든 경로를 탐색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 DFS 전체 과정 DFS의 알고리즘 방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노드를 방문하고 깊이 우선으로 인접한 노드를 방문한다. 2. 또 그 노드를 방문해서 깊이 우선으로 인접한 노드를 방문한다. 3. 만약 끝에 도달했다면 리턴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m8Kep/btrb2lNODhL/Pwmnxo46krctlWYvvpOXo0/img.png)
문제 스택 (stack)은 기본적인 자료구조 중 하나로, 컴퓨터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자주 이용되는 개념이다. 스택은 자료를 넣는 (push) 입구와 자료를 뽑는 (pop) 입구가 같아 제일 나중에 들어간 자료가 제일 먼저 나오는 (LIFO, Last in First out) 특성을 가지고 있다. 1부터 n까지의 수를 스택에 넣었다가 뽑아 늘어놓음으로써, 하나의 수열을 만들 수 있다. 이때, 스택에 push하는 순서는 반드시 오름차순을 지키도록 한다고 하자. 임의의 수열이 주어졌을 때 스택을 이용해 그 수열을 만들 수 있는지 없는지, 있다면 어떤 순서로 push와 pop 연산을 수행해야 하는지를 알아낼 수 있다. 이를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입력 첫 줄에 n (1 ≤ n ≤ 100,000)이 주어..